반바지, 통통과 튼튼사이.

반바지가 뭐 그리 대수냐 라고 할지 모르지만 난 반바지에 대해 할 말이 있다. 최근까지 나는 운동할 때를 빼놓고는 더운 한여름에도 반바지를 입지 않았다. 이유를 물으면 “거의 매일 실험실에 가는데 실험실에서는 긴 바지를 입어야 하니까 반바지를 안사게 되더라고요”라고 둘러댔다. 어릴적부터 마른 체형과는 거리가 있었던 내 몸은 내게 컴플렉스였고, 가뜩이나 body image 에 자신 없는 나는 (“I do have a distorted body image.” 라고 인정해버려 주위사람을 당황시키기도 한다) 30도를 훌쩍 넘는 날에도 긴바지를 입고 밖을 나섰다.

올해 초, 출퇴근시 항상 듣는 팟 캐스트에서 “Dear Ijeawele, or A Feminist Manifesto in Fifteen Suggestions” 라는 책을 쓴 작가 Chimamanda Ngozi Adichie 와의 인터뷰가 있었다. 그녀의 15가지 제안 중 하나:

“Suggestion 10: Be deliberate about how you engage with her about her appearance. Encourage her participation in sports. Teach her to be physically active. I think this is important not only because of the obvious health benefits but because it can help with all the body-image insecurities that the world thrusts on girls.”

몸이란 누구에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내가 움직이고 생활하는데에 필요한 도구라는 사실을 깨우치는데 운동만한게 또 있을까? 팟 캐스트를 들은 이후 테니스를 치고 돌아오는 길에 건물 유리창에 비친 내 다리에 눈길이 갔다. 어제와 별반 다름없는 통통하고 튼튼한 다리. 스키니 진을 입지는 못하지만 21km를 뛰어내는 다리이다. TV속 연예인들의 다리는 아니지만 축구, 농구, 테니스… 큰공, 작은공 구별 않고 공이란 공은 모두 쫓아가는 그런 다리이다.

쭈욱 뻗은 그녀들의 다리가 여전히 부럽다 (한국 여인들은 도대체 뭐먹고 사나요?). 돈 주고 살 수 있다면 아주 심각하게 고민도 해보겠다. “심미성: 80, 사용성: 20” 이 아닌, “심미성: 20, 사용성: 80” 이라는 평가지를 들고 나는 묻는다. 내 다리는 뭐하는 다리? 후자의 평가지가 썩 나쁘지는 않다.

책을 빌리러 도서관으로 나서는 길. 낮기온이 33도까지 치솟는다는 일기예보에 아무렇지 않게 반바지를 입는다. 여전히 민소매 티셔츠를 입으려면 몇 년은 더 기다려야 할 듯 하다. 어찌 그리 작은 양의 천을 가지고 만들었나 싶은 비키니는 평생 입을 생각을 안할 듯 하다. 그래도 반바지는 입기 시작했다.

맨다리 사이로 지나가는 바람이 꽤나 시원하다.